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갭스(GAPS)만성질환 자연치료 식이요법 - 2) 건강은 장에서 시작된다!

갭스(GAPS)만성질환 자연치료 식이요법 - 2) 건강은 장에서 시작된다!

여러분의 몸에 수많은 미생물드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피부, 점막, 심장, 폐, 혈관 기타 모든 장기와 조직들은 생명체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미생물은 그 특징들이 놀라울 정도로 다양합니다.

이것은 매우 경이롭고 또 그만큼 복잡하겠죠. 

 

이 미생물의 대부분은 우리 몸속의 소화기계 안에 살고 있습니다. 과거의 연구자들은 이것을 것 플로라(장내 미생물군) 이라 불렀고,

최근에는 것 마이크로바이오타 또는 것 마이크로바이옴 이라고 부릅니다.

제가 읽은 갭스 만성질환 자연치료 식이요법에서 것 플로라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장내 미생물군이 우리 몸속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의 집합지이기 때문입니다.

장내에서 미생물로 인해 생기는 일은 신체 다른 모든 곳의 미생물군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장내 미생물군을 잘 관리한다면 다른 신체 기관의 미생물군도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겠습니다.

 

갭스 만성질환 자연치료 식이요법 장내 미생물군 다이어트

 

인간의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명체는 서로 조절하고, 번성하도록 도우며 서로의 자원을 활용하여 서로 먹고 돕고 경쟁하는 조화를 이루며 살아갑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세포의 약 90%가 장내 미생물군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습니다.

이말은 곧 우리 몸은 우리 자신을 이루는 세포의 10%에 불과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토양에는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선충, 원생동물, 곤충 등 다양한 종류의 생명들이 복잡하게 엉켜 살고 있습니다. 들쥐, 두더지 같은 더 큰 동물들도 자주 나타나며 미생물, 지렁이 등을 먹고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 모든 생명체는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가고 이것이 다양하지만 균형잡힌 하나의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이 모습이 바로 인간의 몸의 토양. 곧 장이며 우리 건강은 그 토양 속 뿌리에 달려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장에는 어떤 생명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발견하지 못한 많은 생명체가 있을것이고

이제까지 발견한 생명체들 마저도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았습니다.

 

1. 곰팡이

우리몸을 토양에 비교해보았을때 가장 활발한 곳은 식물의 뿌리 주변입니다. 그 이유는 뿌리가 당을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뿌리 부근의 수많은 미생물 중 가장 중요한것은 균근이라고 불리는 곰팡이 입니다.

균근은 뿌리에 붙어서 많은 가지를 뻗어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아마도 월드 와이드 웹과 비교가 될 정도로 정교하다고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장에는 약6~70종의 다양한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곰팡이가 번성한다는 사실은 곧 곰팡이가 존재하는 데에는 어떤 목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몸 안에 균근을 번식시켜서 음식의 소화와 흡수에 관여하는것일까에 대한 의문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2. 박테리아

박테리아는 장내 미생물군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주제입니다. 현재까지 수천 종의 박테리아가 발견되었고 목록은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박테리아는 인간의 대변 건조 중량의 약60%를 차지합니다. 이로 인해 박테리아는 인간 장내 미생물 중에 개체수가 가장 많은것으로 연구됩니다.

하지만 장내 미생물군이 사는곳은 대변이 아닌 장내 벽입니다. 대변에서 검출되는 것은 모두 죽은 미생물뿐이지요.

생검을 해야 연구가 가능하지만 의료 관행이 바뀌지 않은 한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금가지의 연구는 신뢰도가 높지 않습니다.

박테리아 구성은 섭취한 음식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이 말은 장내 미생물군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치유가 필요하다면 그사람의 식단부터

바꿔야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줍니다.

박테리아는 장내 뿐 아니라 입안과 식도, 위, 소장, 대장,고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원충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상 경험에 따르자면 장내 미생물군이 건강해지면 다른 장기와 조직에 서식하는 미생물인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일부도 건강해 집니다.

건강한 토양은 모든 작은 것들이 전체를 바꾸고 그 혜택을 되돌려 받는 자연의 협동입니다.

 

 

갭스를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소화기관과 우리 몸 다른 곳에 사막을 다양한 생명체가 경이롭게 서식하는 울창한 숲과 초원으로 되돌릴 수 있을까?

정답은 그렇다. 가능하다 입니다. 갭스를 통해 바로 그 답을 찾기 위해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식단을 바꿔야했고, 굽는 고기보다는 찌고 삶은 고기, 혈당관리가 필요했습니다.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당이 들어가지 않는 유산균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한달간 드시모네 4500을 복용해보고 있습니다.

 

망가진 장내 미생물에 변화를 주기 위해 

- 기름에 굽는 고기보다는 찌거나 삶은 고기를 섭취

-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는 식사 패턴 (식이섬유 -> 단백질 - >탄수화물)

- 당이 첨가되지 않은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작

이번 관리를 시작하면서 알게된 드시모네4500을 복용하면서의 변화를  느껴보려고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장내 미생물군이 우리의 몸에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정보

GAPS(Gut and Physiology Syndrome) 만성질환 자연치료 식이요법 갭스 의 주요 내용을 참고하여 
개인적인 이해와 해석을 바탕으로 요약·재구성한 것입니다.  원문과는 표현이 다를 수 있지만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r. natasha campbell-mcbride, MD

옮긴이 : 남용현, 이경언

발행연도 : 2024년 12월 16일 발행

(주) 겸엑스